Overview 33

경제 지표를 종합하고 사용하는 것에 대하여

경제 사이클에 기반한 탑다운 투자 관점에서 가장 매혹적인 작업은 수많은 중요 경제지표를 하나로 종합하여 모니터링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여러 지표를 단순 평균을 하든, 적당히 PCA를 돌리든 어떻게든 그런 지표를 만들어내는 것은 그렇게 어렵지 않다. 문제는 각 지표의 함의, 인과관계, 중요도가 중장기적으로 변한다는 점이다. 경제, 금융 시장의 지형이 계속해서 변화하기에 경제 지표의 해석도 시대마다 달라져야 하는 것이다. 과거에는 제조업이 비즈니스 사이클에서 매우 중요했지만 현대(2000년대) 이후로는 그 중요도가 떨어지고 있다. 인구 구조나 생산성과 같은 장기적인 경제 요인들도 장기적으로만 의미가 있어 보일 뿐, 요즘에는 일부 이코노미스트 말고는 아무도 신경쓰지 않는 팩터가 되었다. GFC이후 크..

2023.05.04

모든 투자는 현재 가격에 대한 거부다

모든 투자는 현재의 가격에 대한 반발이다. 현재의 가격은 현 시점에서 시장참가자들의 서로 다른 생각들이 합의를 이룬 지점이다. 결국 투자로 수익을 거두기 위해서는 현재 컨센서스를 벗어나는 투자 근거가 필요하다. 스크린 너머의 상대방이 생각하는 것보다 더 나은 지점이 있어야 경쟁에서 이길 수 있는 것이다. (엄밀히는 이자수익 자산의 경우에는 약간 경우가 다르긴 하다) 어제 본 월가아재의 영상에서는 이러한 부분에 대해 간략하게 다루고 있었다. 다양한 투자 스타일들은 컨센서스를 벗어나는 투자 근거를 찾는 방식에서 근거한다. 매크로를 보는 입장이면 사이클에 대한 더 나은 이해를, 기술적 지표를 보는 입장이라면 유의미하고 일관적으로 작동하는 시그널을, 가치투자 입장이라면 저평가 종목을 능숙하게 발굴하는 능력을 기..

2023.03.22

투자에 대한 동기

나는 적당히 밥벌이만 하며 사는 인생도 퍽 휼륭한 삶이라 생각한다. 스스로가 베팅의 스릴이나 수익의 짜릿함을 딱히 원하는 것도 아니다. 사실은 막대한 수익에 따른 도파민보다는 투자 프로세스를 만드는 고통, 그리고 손실의 고통이 더 크게 느껴진다.그런데도 나는 왜 투자를 하는가?한 가지 이유는 투자의 로직을 만들고, 실행하는 과정 그 자체가 아름답다고 느껴지기 때문일 것이다.투자에 따르는 수많은 불확실성들 속에서 활로를 찾아 나아가는 과정은 미학적인 구석이 있다. 그 누구도 시장에서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 완벽히 알지 못한다. 수없이 많은 관점들, 욕망들이 모여 단 하나의 가격을 형성한다. 가격의 궤적을 온전히 설명할 수 있는 관점이란 존재하지 않는다. 저마다의 방식으로 사람들은 시장을 가늠하고, 재단..

2023.03.22

마틴 츠바이크 투자 원칙

다른 어록도 있는 듯하다. 새겨들을 말들이 많다. 요약할 것도 없긴 하지만 굳이 추려보자면 1,2,4번은 모멘텀에 따라 투자하라는 요지의 내용이고 7,10,12,13,14번은 투자 전략& 투자 결과의 불확실성은 피할 수 없는 것이므로 적절히 감내하되, 마음이 불안하지 않을 정도로 리스크 관리는 하자는 요지로 생각해볼 수 있다. 3, 8,9 번은 사고의 유연성에 관한 멘트다. 매매의 근거가 사라졌다면 포지션을 자르고, 자기 고집대로 시장이 움직일거라 맹신하지 말고, 변화에 적응하라고 한다.

2023.02.27

손절에 관해

*손절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을 적어본다.투자에 있어서 왜 손절이 필요한가-나의 투자가 손실이 나고 있다는 것은 일차적으로는 나의 투자 로직대로 시장이 흘러가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손절은 일차적으로 나의 로직이 맞는지 재점검할 기회를 제공한다. -금융시장에서는 상상을 뛰어넘는 가격 변동이 드물지 않게 일어난다. 원유가격이 마이너스가 되기도 했다. 주식이 하루에 20%넘게 폭락하기도 하며, 미국채 금리가 일간 100bp 레인지에서 변동하기도 한다. 꼭 극단적인 케이스가 아니더라도 손절은 가장 핵심적인 리스크 관리의 도구이다. 손절을 통해 일차적으로 추가 손실을 예방할 수 있다. 언제 손절할까 1. 전제 조건이 바뀌었을때포지션에 들어갈 때 생각했던 전제 조건들이 바뀌면 청산을 고려해보는 것이 맞다. 가격 움..

2022.1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