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브 4

미국채 베어스티프닝 개요

베어스티프닝(bear steepening)은 시장 금리 전반이 상승하는 가운데(bear) 장기금리가 단기금리 대비 약세를 보인다는 말이다.(steepening) 경기 확장기에는 베어플랫, 경기 침체 및 둔화기에는 불 스팁이 중장기적으로(수 년) 나타난다. 그에 반해 베어스티프닝은 간헐적인 이벤트에 가까우며 수 개월 정도 지속된다. 베어스티프닝 나타나는 케이스는 세 가지로 생각해볼 수 있다. 1.경기 반등 내지는 확장기 -장기 인플레이션이나 성장률은 비교적 안정적인 수준을 보이는데 단기적인 인플레이션, 성장률 상승이 예상될 때 베어스티프닝이 나타난다. -최근의 사례로는 2020~2021년에 나타났다. 미국의 경우 제로 금리가 지속되었지만 인플레이션과 성장률이 크게 상승하며 베어스티프닝이 나타났다. 당시에는..

2023.09.10

3/10년 스프레드 추세trend 노트

관련 글 : 장단기 금리 스프레드 일드커브 노트 (2023.06.17) 요즘 들어 금리 커브에 대한 생각들을 많이 하게 된다. 단편적이지만 기록해둔다. -커브 기울기( 만기구간 금리차)의 추세가 금리 자체보다 좀 더 추세trend를 보인다는 인식이 있다. 1. 만기간 스프레드가 현물 금리 레벨보다 더 추세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지 -ex) ACF도 확인하는 수단이긴 한데, 큰 의미는 없지 싶다. 2.스프레드 추세를 어떻게 활용할지 고민해볼 수 있다. -추세 추종전략 사용 ex) 단순 MA크로스오버, ROC -단순 국고 3년, 10년 베팅보다 좀 더 우월한 점이 있을까? 꼭 스프레드 포지션을 만드는 것보다 3,10년 구간 중에 매력도 높은걸 선택하는게 나을 수도 있지 않을가? 전략을 쓸 때 수익 변..

2023.07.30

일드 커브에 관한 노트 (2023.06.17)

1.일반적으로 제대로 된 커브를 보려면 spot yield curve를 사용하는게 정석이긴 한데, 실제 시장 참가자들은 거의 spot curve를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대부분 그냥 ytm 커브로 본다. 아마 IRS 딜링하는 쪽은 좀 다를 수 있을 것 같다. 이런 현상은 한국 채권 시장 뿐만 아니라 미국채 시장에서도 비슷한 것으로 보인다. 2.초보적인 수준의 커브를 이해하는 것은 쉽지만, 좀 더 복잡하게 파고들면 개념적으로 상당히 어려운 내용이 많다. 그러나 실제 시장 베팅을 하는 관점에서 굳이 수학적인 방법론과 이론들을 다 익힐 필요가 있는지는 의문이다. (커브 피팅을 위한 spline 등의 비모수 방법론들, Svensson 모형 등) 중장기적인 커브지형은 시장 심리, 정부 재정지출, 국채 발행..

2023.06.17

파이썬으로 3D 일드 커브(yield curve) 그리기

예전에 해봤던 입체 일드커브 그래프 작업을 올려본다. matplotlib 라이브러리나 plotly를 써서 어렵지 않게 그릴 수 있다. 억지로 작동만 하게 짰을 뿐 코드는 상당히 더럽다. 일드커브를 3d로 그리는 건 재미는 있지만 실용적으로는 크게 의미가 없다. 내 생각에는 3차원 이상의 데이터는 사람이 일반적으로 하는 논리적인 사고 방식에 부합하지 않는다. 구글 코랩으로 돌렸고 raw데이터로 국채 금리 엑셀 데이터를 드라이브에 집어넣어 끌어서 사용했다. from google.colab import drive drive.mount('/content/drive') # https://github.com/blaiklock/3d_yield_curve/blob/master/3d_yield_curve.ipynb im..

2023.06.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