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log.kakaocdn.net/dn/dCRtCw/btrLvJyU6kQ/QFNKHQOH1MNVEs2dYQxrD1/img.png)
![](https://blog.kakaocdn.net/dn/ct8weZ/btrLzj7KFeN/UuZfxpNmVWdKTCiihUIHmK/img.png)
잘 알려져있다시피 스태그플레이션 시기에 주식과 채권 수익률은 낮고 원자재의 성과는 좋다. 2022년은 명백하게 스태그플레이션의 시기였고, 2023년 중반까지도 아마 이런 환경이 지속될 확률이 높다.
그렇다면 스태그플레이션에 강한 원자재를 당장 투자해야할까?
긴 흐름에서 우리가 어떤 사이클에 있는지 생각해보는 건 필요하다. 그렇지만 이런 종류의 장기적 컨셉을 실제 투자에 그대로 적용하는 것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다. 당장 우리가 어느 사이클에 있는지 판단하는 것이 애매할 때가 많고, 현재 사이클에 대한 판단이 서더라도 이 사이클이 언제 바뀔지에 대해서도 알기 어렵다. 그리고 사이클에 대한 판단이 정확하더라도, 개별자산군의 움직임은 사이클과 단기적으로 괴리될 수 있다.
당장 금만 하더라도 2021~2022 현재까지의 환경에서는 굉장히 성과가 좋아야 하는게 맞다. 그런데 전혀 그렇지 않았다.
천연가스 부족으로 유럽의 에너지 위기가 현실화되고 있지만, 이미 충분히 천연가스가 폭등한 현 시점에서 천연가스 투자가 맞을까?
아주 원론적인 이야기이긴 하지만 투자 진입과 청산 시점에 대한 그림없이, 긴 사이클의 흐름만으로 투자할 수는 없는 법이다.
![](https://blog.kakaocdn.net/dn/cmLtqF/btrLDGIYlKP/CHbj22iMKaXtwCdyDihq70/img.jpg)
'매크로 노트 & 투자 아이디어 > Cross Asset & 자산 전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올웨더 포트폴리오의 한계 (1) | 2022.09.09 |
---|---|
어느 자산을 사야할까 (0) | 2022.09.08 |
GMO 제레미 그랜섬의 버블 경고 (0) | 2022.09.02 |
항구의 공급망 병목 (0) | 2022.08.25 |
엠파이어스테이트 제조업 지수 -31 기록 (0) | 2022.08.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