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 자료 제목은 까먹었다.
..10년 금리의 설명 변수로 OIS 1y1y와 인플레이션 스왑 5y5y를 설정한 이유는 아래와 같다.
10년 금리는 앞으로 10년 동안 예상되는 단기금리 (≒기준금리)의 기하 평균에 기간 (10년)에 대한 보상인 기간 프리미엄을 더한 값이다.
그 중 기대 단기금리 요인은
a) 최종 기준금리 외에도
b) 고점까지 남은 기간,
c) 고점 이후 동결 기간,
d) 동결 이후 인하 폭, 그리고
e) 기준금리 최종 수렴 지점 (≒longer run) 등으로 세분화할 수 있다.
a)~d) 요인은 OIS 1y1y, e) 요인은 인플레이션 스왑 5y5y로 상당 부분 설명이 가능하다.
OIS 1y1y는 1년 후 1년 동안의 익일물 스왑 금리의 평균이므로, a)~d) 요인을 반영하는 지표다.
인플레이션 스왑 5y5y는 사이클 영향으로 추정하기 어려운 중장기 기대 인플레이션에 대한 시장의 기대치다.
e) 기준금리 최종 수렴 지점은 명목 기준으로 실질 중립금리 (r*)와 중장기 기대 인플레이션 (π*)조합으로 설명할 수 있다. 실질 중립금리는 추정의 불확실성이 클 뿐만 아니라 지금은 그보다 중장기 기대 인플레이션이 핵심이므로, 인플레이션 스왑 5y5y이 e)의 변화를 잘 설명한다고 볼 수 있다.
[참고] BEI는 TIPS 유동성 프리미엄이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 인플레이션 스왑은 상대적으로 순수한 인플레이션 전망에 기반한 거래라고 볼 수 있으므로 중장기 기대 인플레이션 지표로 더 적합
*기대단기금리 요인만 밝히고, 나머지 항목인 텀프리미엄은?
'매크로 노트 & 투자 아이디어 > 채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채권 볼린저밴드 회귀 전략 (1) | 2023.04.11 |
---|---|
WW2 인플레이션에 관한 노트 (0) | 2023.03.15 |
국고 2년물 "계륵" 기사 2023.03.07 (0) | 2023.03.07 |
10/30년, 30년 대차 2023.02.24 (0) | 2023.02.24 |
통안채 개괄: '통화안정증권 시장의 구조 변화' (0) | 2023.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