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시장연구원 자료를 뒤적거리다, 통안채 전반에 대해 개괄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보고서를 찾아 공유해본다. 시장 참가자 입장에서는 유동성이 떨어진다는 사실 하나만 중요하지 않을까 싶긴 하다.
https://www.kcmi.re.kr/report/report_view?report_no=1475
24.02
미국이나 일본은 자국 통화수요가 많기 때문에 중앙은행에서 채권을 발행할 필요가 없고, RP나 국고채매입으로 공개시장운영한다.
그러나 위에도 나와있듯 한국은 기조적으로 수출대금, 외인 투자 등으로 초과유동성이 생겨 통안채를 발행한다고 한다.
'매크로 노트 & 투자 아이디어 > 채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고 2년물 "계륵" 기사 2023.03.07 (0) | 2023.03.07 |
---|---|
10/30년, 30년 대차 2023.02.24 (0) | 2023.02.24 |
국고 스트립채 자료 (0) | 2023.02.06 |
신용사이클과 한국 크레딧 스프레드에 대한 노트 (0) | 2023.01.17 |
2022.12.28 채권과 경기에 대한 노트 (0) | 2022.1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