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수지 개요
국제수지는 아주 기초적인 내용이긴 하지만, 요즘 다시 보니 의미가 남다르다. 교과서에서 휘적휘적 지나가듯이 봤던 파편화된 내용들이 조금씩 맞춰져가는 것을 보니 즐겁다. (맞춰지고 있다는 착각일 수는 있겠다)
경상수지 + 자본수지 = 금융계정
한국 : 상품수지 흑자 위주 + 코로나 이후 해외자산 투자 증가로 본원소득 수지 비슷하게 증가
일본 : 본원소득수지 위주
![](https://blog.kakaocdn.net/dn/IpYyc/btsGzckLUzC/K9kFpjWbkyJHH3qp3Fia6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gdhLg/btsGyRBtZYw/b4YiLxIW1Q4qqA37I0KVak/img.png)
---
― 국제수지통계는 일정기간동안 거주자와 비거주자 사이에 발생한 경제적 거래를 체계적으로 기록한 통계로 IMF의 국제수지매뉴얼(BPM6)에 따라 작성
* 국제수지통계의 구성
가. 경상수지 : 일반적으로 국제수지 구성성분 중 가장 중요도 높음
① 상품수지 : 거주자와 비거주자간의 상품 수출입거래를 계상하며 일반상품, 비화폐용금 및 중계무역 순수출로 세분화
② 서비스수지 : 거주자와 비거주자간의 서비스거래 결과 발생한 수입과 지급을 계상하며 가공서비스, 운송, 여행, 건설 등 12개 항목으로 구성
③ 본원소득수지 : 대외금융자산 및 부채와 관련된 배당, 이자 등의 투자소득과 근로소득인 급료 및 임금을 계상
*금융계정의 증권투자랑 구분- 배당 및 이자소득이다.
④ 이전소득수지 : 거주자와 비거주자사이에 대가없이 이루어진 무상원조, 증여성 송금 등 이전거래내역을 기록
나. 자본수지 : (일반적으로 비중 낮음)
채권자에 의한 채무면제 등을 기록하는 자본이전과
상표 등 마케팅자산의 취득과 처분 등을 기록하는 비생산‧비금융자산으로 구분
다. 금융계정 :
경영참여를 통해 지속적인 이익을 취할 목적인 직접투자,
주식과 채권거래를 나타내는 증권투자,
파생금융상품거래를 계상하는 파생금융상품,
대출, 차입 등의 기타투자
통화당국이 보유한 외환보유액의 거래변동을 계상하는 준비자산으로 구분
![](https://blog.kakaocdn.net/dn/UHbWl/btsGye4cBub/6RIGSnjrIBYmIQzOS7xR20/img.png)
![](https://blog.kakaocdn.net/dn/JncUL/btsGwbgcf67/3X2GtR2OnnobkD2Go7Kg0K/img.png)